네이버 서치어드바이스 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36a3ba7365cdacdd88b168e7c3aedc1cf87f31a8" / '기독교란 무엇인가?'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독교란 무엇인가?

(15)
맘이 불안하고 미래가 막막할 때 미래는 알수없고과거는 후회가 밀려오고현재는 불안할 때 해결책이 있을까요?모든 것이 내 맘에서 시작되는 현상이라고 생각되며이렇게 기도해보세요Rinhold Niebuhr 목사의 유명한 기도문으로 일반적으로 "평안의 기도" (The Serenity Prayer)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기도문은 개인의 내면 성찰과 삶의 태도를 돌아보게 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평안의 기도 하나님, 저에게 평안을 주소서제가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평온함을,바꿀 수 있는 것은 바꿀 수 있는 용기를,그리고 그 둘을 구별할 수 있는 지혜를 주옵소서.하루하루를 살아가며,매 순간을 즐기게 하시고,고난이 평화로 가는 길임을 받아들이게 하시며,죄 많은 세상을 예수님처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하소서.제가 원하는 대로가 아..
우리가 몰랐던 예수님 시대의 병자 이야기,진짜 병자들이 많았을까? 4대 복음서 이야기 속에는 병고침, 귀신들림, 등의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이 의문점에서 오늘은 이야기를 풀어보고 싶었다예수 시대에 병자와 귀신들린 자들이 많았던 이유는 단순히 의학적인 현상만이 아니라, 사회적, 종교적, 인식론적 배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다음의 다섯 가지 관점으로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1. 의학 수준의 한계와 병에 대한 해석당시에는 현대 의학이 없었기 때문에, 간질, 정신질환, 자폐, 신경증, 중풍 같은 질병이 ‘귀신들림’, ‘부정한 영의 영향’ 등으로 해석되었습니다.의학과 종교, 심리와 신체의 경계가 불분명했기에, 병은 단순한 건강 문제라기보다 죄, 영적 타락, 신의 심판으로 이해되었습니다.2. 로마 제국의 억압과 식민지 현실유대 민족은 로마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에서 정..
“히틀러에 맞선 목사, 본회퍼가 지금 한국 교회에 말한다면?”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는 히틀러와 나치 정권에 대해 신학적, 윤리적, 정치적으로 깊이 고민하며 저항한 인물입니다. 그가 히틀러에 대해 직접 언급한 글은 많지 않지만, 그 사상과 행위는 분명히 히틀러 체제에 대한 비판과 저항으로 읽혀집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본회퍼의 윤리 사상은 오늘날 정치적 저항이나 시민 불복종의 근거가 될 수 있을까?충분히 근거가 됩니다. 본회퍼의 윤리는 ‘책임 윤리’(Verantwortungsethik)에 기반하며, 단순히 규칙을 따르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악에 직면했을 때 책임지는 행동을 할 수 있느냐를 중심으로 합니다.그는 윤리를 정적이고 절대적인 규범으로 보지 않았고, 오히려 구체적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물으며 책임 있게 행..
미련해 보이는 일 그 여인은 아무 설명도, 까닭도 없이 조용히 예수님께 다가와 옥합을 깨뜨린다그 안에는 순전한 나드,1년치 노동의 대가가고스란히 담긴매우 값진 향유가 있었다“왜 이런 낭비를 ?”제자들조차이것으로 가난한 사람들을돕는편이 더 좋겠다고말한다하지만 예수님은 “그녀는 내게 좋은 일을 했다.내 장례를 준비한 것이다.”칭찬하신다이 여인은 예수님의 죽음을 명확히 이해 했을까?제자들조차 십자가를 부인하고 있었던 그 시점에?이 행위는 지식이 아닌성령의 감동이 아닐까?성령은 종종 말보다 먼저 마음을 움직이신다사람들은미련하다고 말하지만성령님은설명할 수 없고 계산되지 않는 감동으로,사람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는 사랑으로,‘지금이 그때’라는 강한 확신으로 우리를 이끄신다그때 그녀는강한 감동을 따라 행동하지 않았을까?예수님은그런 그..
나와 이웃과 하나님과의 관계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레위기 19:18).이 말씀에는 세 가지 깊은 뜻이 담겨 있다.첫째, 우리는 자신을 사랑해야 한다나를 존중하고 소중히 여기는 것, 내 존재를 귀히 여기는 것이 이웃 사랑의 출발점이다. 자신을 제대로 사랑하지 못하면 다른 사람을 온전히 사랑할 수도 없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각 사람을 존귀하고 아름다운 존재로 만드셨기에, 나를 사랑하는 것은 하나님의 창조를 인정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내 자신을 사랑하는 일은, 하나님을 사랑하는 일과 깊게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둘째,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내가 내 몸을 아끼고 보살피듯, 이웃도 소중히 여기고 섬겨야 한다는 것입니다. 단순한 감정적 호의가 아니라, 실제적인 돌봄과 배려를 뜻합니다.예수님은 이 이웃 사랑을 한 걸음 더 깊이 연..
'소멸하는 불'의 의미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라는 표현은 성경에서 하나님의 거룩함, 심판, 질투, 정결케 하심을 강조할 때 사용되는 매우 강렬한 이미지입니다. 이 표현은 히브리서 12장 29절에 명확히 나옵니다:"우리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심이라" (Hebräer 12:29, Elberfelder: "Denn auch unser Gott ist ein verzehrendes Feuer.")이 구절은 신명기 4장 24절을 인용한 것입니다:> "네 하나님 여호와는 소멸하는 불이시요, 질투하시는 하나님이시니라."1. 거룩함과 심판의 상징"소멸하는 불"은 죄를 용납하지 않으시는 하나님의 거룩함과 공의를 상징합니다. 죄와 불의는 그분 앞에 설 수 없으며, 반드시 정결케 되거나 심판받습니다.히브리서 12장 맥락에서는 하나님께서 시온 ..
형제교회 형제교회는 1825년 아일랜드의 더블린(Dublin)에서 성만찬을 위해 형식 없이 만난 몇몇 그리스도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중심인물은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하는 치과의사 앤서니 노리스 그로브스(Anthony Norris Groves), 의학을 공부하는 에드워드 크로닌(Edward Cronin), 성직자 존 넬슨 다비(John Nelson Darby), 그리고 이들을 한께 모은 변호사 존 기포드 벨렛(John Gifford Bellett)이다. 이들은 '오직 성경'을 주장하며 기존 교회의 전통적인 예배순서와 절차, 목사 없이 신약성경의 내용을 따라 진행한다. 기독교 근본주의를 주장하는 개신교 교파로써, 진실되고 참된 기독교의 교리는 오직 성경에서만 찾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특징으로는 ..
경건주의 경건주의(Pietism)는 성경의 교리, 개인의 경건함, 신성한 기독교생활을 강조하고 결합한 운동이다. 루터주의와 같지만 북미와 유럽에서 개신교에 큰 영향을 끼쳤다. 경건주의는 17세기말 독일의 신학자 필립 수페너(Philipp Spener)의 주장과 함께 시작되었는데, 그의 초점은 영적 재탄생과 갱신을 통한 개인적인 변화, 개인의 헌신, 그리고 예배의 기초를 닦는 것이었다. 경건주의는 또다른 종교개혁이라고 평가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유럽에서의 계몽주의 운동에 영향을 끼쳤고, 유럽의 철학과 정치에도 영향을 주었다. 독일의 경건주의는 독일 서부 복음주의 교회 협회 즉, 북미 독일 복음주의 총회(이것이 후에는 그리스도 연합교회의)전신인 복음주의 개혁교회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1901년부터 1914년까지 교..